부동산 동향 파악 방법(주택 순환 주기와 입주물량으로 파악하는 투자 매매법)
2022. 5. 13. 21:17ㆍ부동산
반응형
주택 순환주기 + 입주물량
입주물량 누적이 중요하다
전세가율이 매매가의 선행지표다 (전세 -> 매매 전환 압박)
인구수 보다는 인구 밀도와 관련이 있다.
청년 취업자수 증가율 과 주택시장 관계 있다.
불확실성 지수와 주택가격은 관련이 있지만, 후행하는 성격으로 불확실성지수 먼저 보고 주택가격을 어느정도 예측 가능하다.
대출과 공급과잉 -> 주택하락 영향 (2021년~22년 집단대출 -> 2024년~25년 잔금대출 – 금리상승 조심)
준공 후 미분양, 이것보다 약간 선행하는 전세가율! (70% 넘어야 된다)
입지도 중요하지만, 입지보다 주택시장 흐름이 더 중요하다
새아파트와 입주 6~10년차 아파트 차이가 10% 내에 있는 곳이 상승여력이 높다.
결국, 큰 그림으로 보자면
1. 입주물량
2. 미분양
3. 전세가율
4. 입지
5. 가격비교
6. 금리 등
각자의 생각이 다를 수도 있지만,
수요와 공급은 무시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미국의 긴축정책과 금리인상에 대해서 두려워 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것 같습니다.
물론 유동성이라는 돈의 흐름이 줄어들기 때문에, 자산 투자에 영향을 주는것은 명백합니다.
하지만, 그 유동성이라는 것도 결국 투자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가장 큰 흐름인 수요와 공급을 기준점으로 보며,
금리와 유동성이라는 부분을 너무 과대평가 하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 지금 투자로 괜찮을까? (삼성sdi주가, 삼성sdi우, 삼성sdi 주가전망) (0) | 2022.06.01 |
---|---|
초보자를 위한 투자의 정석 - 우석 (베스트셀러도서목록, 주식장기투자원칙) (0) | 2022.05.25 |
거시경제란, 오건영 저자의 책으로 부터 거시경제를 알아보자 (독후감) (0) | 2022.05.09 |
김정환 저자의 책(김정환슈퍼개미, 슈퍼개미김정환) (0) | 2022.05.08 |
부의 추월차선 (엠제이드마코, 예스24 베스트셀러도서목록)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