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2)
-
거시경제란, 오건영 저자의 책으로 부터 거시경제를 알아보자 (독후감)
환율 수출이 잘 될 때 -> 달러 유입 -> 환율 내려감 (기업의 측면)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투자할 때 -> 달러 유입 -> 환율 내려감 (외국인 투자 측면) (투자는 환율이 고점일 때 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환율 고점은 주식 저점처럼 신의 영역으로 평균 환율 대비 높다면 분할매수를 시작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정부의 재정정책으로 국채 발행 -> 국채가격 하락 -> 장기채 금리 상승 -> 기업들 투자 축소 외국인들의 국제정세 불안으로, 금리인하에도 장기국채 매도 -> 국채가격 하락, 금리 상승 국고채와 회사채와의 금리 차이 -> 회사채 스프레드 (높다면 경기가 위험하다는 신호)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좋지 않아, 불안한 투자자의 마음 때문에 회사채 금리는 더 오르는 경향이 있음 -> 경제위기..
2022.05.09 -
인플레이션 시대의 투자방법 (투자방식, 투자의 핵심은 시세차익이 아니다)
투자의 핵심은 시세차익이 아닌, 현금흐름을 만드는 자산을 모아가는 것 자본 레버리지 뿐만 아니라, 시간 레버리지도 중요하다 나만의 투자 기준금리를 세우고, 그에 맞는 실전 투자법을 꾸준히 실행 부동산은 필수재이며, 통화량 증가에 따라 앞으로도 장기적 우상향 할 것이다. 전국적 입주물량 감소 -> 정부 부동산 규제정책 -> 전월세 공급물량 감소 -> 2~3년간 입지 괜찮은 부동산 가격 우상향 가능성 높음 전세 레버리지 투자법 – 전세가가 꾸준히 상승할 지역의 부동산을 모아가는 것 부동산 투자의 정석(김원철), 노후를 위해 집을 이용하라(백원기) 주택 공급량과 통화량의 증가는 전세가에 영향을 준다 2016~2019년 하반기 까지 역전세 구간 전세가 저평가된 지역 전세 수요 많은 입지 결국 우량한 자산을 판다..
2022.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