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환 저자의 책(김정환슈퍼개미, 슈퍼개미김정환)

2022. 5. 8. 16:23부동산

반응형

유 무형 자산에 투자 ->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비 발생 -> 영업이익 영업활동현금르흐름 = 투자활동 현금 -> 유무형 자산에 투자를 했기 때문에 감가상각비 만큼 투자활동 현금흐름에 생김(빠져나간 돈이 아니기 때문에)

 

영업이익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안좋은 신호 (위의 사례가 아닌 경우)

보통 영업이익이 더 많아야 됨 (감가상각비를 확인해 볼 것)

 

재무제표 제일 중요 한 것

매출액

영업이익의 증가

투자금액(R&D)

 

@@영업이익으로 멀티플을 계산할 때, 감가상각비, 현금 유출 없는 부분은 무조건 체크해야 된다

 

EPSBPS 구할때는 유통주식수가 아닌, 발행주식수로 구하는 것이 더 좋다. (보수적)

 

1. 영업이익(또는 당기순이익) x ROE = 시가총액

(자회사 변동이 많으면 영업이익, 자회사 일정하게 이익이 들어오면 당기순이익)

2. EPS x ROE = 주가

산업별 평균 멀티플, 경쟁사 멀티플 -> 최대한 많이 비교해보세요(두개 다 계산)

 

주주이익 = 재무제표에는 (-)로 잡히는 감가상각비를 더해줌 으로써, 실제 영업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을 계산하여 주가를 계산하는 것

 

갈륨 나이트라이드(GaN), 실리콘 카바이드(Sic)

 

초기 설비투자는 많이 들어가지 않으나, 이익 창출은 많은 산업은 멀티플을 높게 쳐준다

 

매출액을 가장 중요하게 보지만, 미래 성장성이 크다면 높은 멀티플을 적용할 수 있다.

 

3가지 비교 동업종(산업), 경쟁기업, 과거 per 비교

 

네이버 한국거래소 검색 - (시장정보->통계->지수->주가지수->per추이)

계열, 기간 선택 후 조회 -> 차트 클릭

원하는 산업 선택

 

매출이 성장하는 기업

지속적인 성장(전방산업 성장)

스토리가 있는 주식(시장 관심 안에 있는 주식)

 

3년치 영업활동현금흐름 봐라

 
김정환 저자의 적정주가 판단은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하는 PER이 아닌
영업이익 기준으로 
영업이익 x ROE로 적정주가를 판단하는것에
또 다른 적정주가 방식을 배우게 된게 새로웠다.
반응형